캐나다에 사는 한국 이민자 몇 명?
캐나다는 매년 25만 명 이상의 이민자를 받아들이고 있는데요. 2년 전부터는 매년 30만 명 이상을 받아들이고 있으며, 외교부에서 향후 5년 이내에 매년 45만 명까지 늘릴 계획이라고 밝혀 이민자 수는 앞으로 더 증가할 것으로 보이네요. 2011년 인구 조사 결과 캐나다 인구의 20.6%가 이민자로, 5명 중 1명꼴입니다. 5년마다 한 번씩 있는 인구조사가 2011년에 이어 2016년에 시행됐는데, 결과가 발표되면 이민자의 비율은 2011년도보다 더 높아져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캐나다 이민 언제부터 가속화되었는가?
캐나다 이민이 가속화되기 시작한 시점은 지금으로부터 50년 전인 1966년에 이민법이 개혁되면서부터였습니다. 당시 미국 달러 대비 캐나다 달러가 약세인 상태였기에 미국보다는 재정적으로 부담이 덜 되는 상황이기도 했습니다. 현 캐나다 총리 쥐스탱 트루도의 아버지이자 총리직을 2번이나 역임한 피엘 트루도(Pierre E. Trudeau)가 1971년에 캐나다는 다문화주의 나라라고 공식 선언함으로써 다양한 국가에서 이주하는데 큰 밑받침이 되기도 했습니다.
아시아 출신 이민자 얼마나 있나?
17세기부터 19세기까지 프랑스와 영국 식민지 하에 있었던 영향 때문인지 초기에는 대부분 유럽에서 이주 왔는데요. 위의 표에서 알 수 있듯이, 2011년 인구 조사에 의하면 2006년부터 2011년 동안 이민자의 출신 국가를 조사한 결과 아시아 56.9%, 유럽 13%, 아프리카 12.5%, 중남미 12.3%로 아시아에서 온 이민자들이 독보적으로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한국 이민자 얼마나 있나?
유럽 출신이 아닌 비유럽계(아시아, 중남미, 아프리카 등) 중에서 이민자의 출신국을 순서대로 나열하면, 중국, 동인도, 필리핀, 자메이카, 베트남, 레바논 다음으로 한국이 7번째입니다. 2011년도 인구조사에서 집계된 총 한인 거주자는 112,370명으로, 캐나다 전체 인구(3천 5백만 명)의 0.31%입니다. 2006년도부터 2015년까지 매년 4~7천 명의 한국인이 신규 영주권을 취득했습니다. 10년 동안 한국인 신규 영주권자는 53,781명입니다.
한국 이민자 어디에 많이 거주하나?
캐나다는 10개 주와 3개 준주로 구성돼 있는데요. 캐나다에 거주하는 한인이 가장 많은 주(province)부터 순서대로 정리해보았습니다. 2011년에 조사한 바에 따르면, 한인 10명 중 9명은 온타리오(49.4 %) 주, 브리티시컬럼비아(33.6 %) 주, 앨버타(8.5 %) 주 3개 지역에 거주하고 있습니다. 한인 이민자의 40%는 온타리오 주의 토론토(43,675 명)에, 31%는 브리티시컬럼비아 주의 밴쿠버(34,365명)에, 5%는 앨버타 주의 캘거리(5,565 명)에 거주하고 있습니다.
한인들이 선호하는 주(province) 순위는 캐나다 전체 이민자가 선호하는 순위와 거의 비슷한데요. 프랑스어권인 퀘벡 주가 종합 2위인 것을 제외하고, 나머지 순위가 일치합니다. 아마도 과거에 프랑스 식민지 하에 있었던 나라에서 온 이민자들이 영어보다는 프랑스어를 잘 구사할 수 있어 프랑스어권인 퀘벡 주를 한인보다 더 선호해서 순위가 다른 것 같습니다. 이외에 3개의 준주 중 누나부트 준주(NU)에는 10명, 노스웨스트 준주(NWT)에는 10명이 살고 있으며, 유콘 준주(YK)에는 거주하고 있는 한인이 없습니다. 이는 2011년 인구조사에 기반을 둔 통계 자료로, 2016년 인구조사가 정리되면 업데이트할 예정입니다.
캐나다 이민 프로그램과 2017년 동향(<-클릭)에 대해서 궁금하신 분들은 이전 글을 참고하길 바랍니다. 따스한 하루 보내시길요.^^
'북미 정보&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캐나다 집값 얼마나 할까? 주택 시세 및 최근 동향 (52) | 2017.02.25 |
---|---|
유학생들이 캐나다를 선택하는 이유 (47) | 2017.02.14 |
캐나다 내 한국 이민자 수와 선호 지역 (32) | 2017.02.08 |
캐나다 이민 프로그램과 동향 (32) | 2017.02.05 |
퀘벡 총격 사건에 대한 캐나다 학교의 반응 (36) | 2017.02.01 |
캐나다 아이스 링크 상상 그 이상이다 (32) | 2017.01.20 |
-
-
제가 어릴적에 정말 캐나다로 많이들 갔는데
그게 벌써 20년쯤은 된거 같아요
최근 10년 정도도 정말 많이 캐나다로 떠났는데
정작 숫자로만 본다면 아직 그렇게 많은 숫자는 아닌거 같네요...
10년간 5만명... 이면
작은 땅인 한국의 인구에 비하면 많다고 생각이 되지만요 ^^
중국에서 오는 사람들이 너무너무너무~~ 많아서 그런가 봐요 ㅎㅎㅎ -
아시아 지역 빈도가 높은건 그 만큼 살기 힘드니까?
호주를 선택하는거 같네요 저도 아시아 사람이라
한번 가보고 싶은 마음은 생기드라고요.
한국이 아시아니까요 ㅋㅋ -
캐나다로 이민 가시는 분들도 점점 늘어나는군요. ^^
프랑스어권인 퀘백 주가 언어 소통 문제가 더할 듯 한데도
2위권인거 보면 아름답고 살기가 좋아서겠죠?
건강한 목요일 시작하셨길 바랍니다. Bliss:)님!~ ^^ -
이민자가 조금씩 줄어드는 추세군요~
한국도 머지않아 미래를 위해 다민족 국가 선포를 할 수도 있겠네요~
오늘하루도 즐겁게 상쾌하게~~멋진 블리스님~ -
캐나다의 한국인이 10만명을 넘는군요
생각보다는 많지 않네요..
유학 인원을 포함하면 훨씬 많겟네요
이제 세계 어디를 가도 우리 나라 사람들을 볼수 있네요^^ -
와우 꽤 많이 사는군요.
이민을 받는 정식의 나라므로
아마도 한국인 많은 느낌입니다.
뉴욕, 로스엔젤레스도 백만이 넘는 한국인이 살지요.
한국인 5천 만인데 해외에 사는 사람 계산하면 엄청날 느낌입니다. -
저도 지인분이 온타리오주에 살고계시는데~
생각보다 엄청 많네요 그리고 제일 한인거주자가 많은 지역었네요;;;
시국이 시국이라.. 이민 생각하시는분들도 참 많은 것 같아요
캐나다 가고 싶습니다 ㅎㅎ
좋은 포스팅 잘 봤습니다! -
생각보다는 적네요.
온타리오주에 가장 많고요....
캐나다는 이민가기엔 확실히 제일 좋은 곳이 맞는 것 같아요.
저는 사람을 참 좋아하다 보니... 이곳을 떠나 다른 나라에서 살기는 아무래도 좀 힘들겠다는 생각을 새삼 해보네요.
그러면서 제주에서 살고 싶어하니... ㅋ
-
퀘벡은 요즘도 독립을 요구하고 있나요? 한인이 많은 지역이 장단점이 있다보니 이민을 생각하는 분이라면 참고가 되겠네요. 좋은 하루 보내세요. ^^
-
캐나다로 많이들 가는 것 같은데 생각보다는 적은 수치인 것 같네요. 그리고 매년 늘어날 줄 알았는데 오히려 줄어드는게 의외구요. 아마 유학이나 어학연수 등을 캐나다로 가는 걸 제가 이민이랑 혼동했는지도 모르겠어요. 그래도 전체적으로 따지면 꽤 많은 수네요..
-
온타리오주에 사시는 분들은 좀 덜 외로우시겠어요. 캐나다 이민 많이 가신다 했더니 정책적으로 받침을 해주시는군요. 이민은 몰라도 여행 떠나고 싶은 곳입니나. 잘 보고 갑니다ㅎㅎㅎ
-
-
생각보다 한국 이민자들이 많네요. 최근에는 트럼프 영향으로 미국으로 향하던 이들 중 많은 분들이 캐나다로 향하더라구요. 추위에 약해 날씨 좋을때 여행하고 싶네요. ㅎㅎ
-
이민자 수를 요즘 많이 늘어나서 캐나다 물가가 많이 올라갔다고 걱정하는 글을 최근 본 적이 있어요.
퀘백주가 프랑스어권이군요. 젊은 총리가 멋지게 나라를 잘 이끌어 나가고 있는 것 같습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