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8월 15일, 캐나다 오타와에서는?
캐나다 전국에서 광복 70주년을 맞아 다양한 기념행사가 열렸는데요. 오타와는 캐나다 국회의사당에서 주캐나다대사관과 오타와한인회가 공동으로 마련한 광복 70주년 기념행사가 열린다고 하여 다녀왔습니다. 캐나다에서 광복절의 의미를 되새길 수 있을 뿐 아니라, 딸에게 한국의 문화를 자연스럽게 보여줄 수 있는 절호의 기회라는 생각에 가는 내내 설렘이 가득했답니다.
19세기 말과 20세기 초, 많은 캐나다 선교사들이 한국에 와서 적극적으로 한국의 해방을 위해 노력을 했습니다.
프랭크 스코필드 박사, 스탠리 마틴 박사, 아치볼드 바커 박사, 로버트 그리어슨 박사를 포함한 많은 캐나다 선교사와 의사들은 한국의 독립 운동가를 위한 장소와 자금을 지원하고 고문을 당한 독립운동가들을 치료하는 등 한국 독립운동가를 지원함으로써 일본의 식민 통치에 항거한 한국 독립운동에 참여했습니다.
광복 70주년 기념행사는 캐나다 위병교대식을 시작으로 만세삼창, 태권도 시범, 고전 무용, 사물놀이, 한국 전통 놀이 등 다양한 이벤트로 채워졌습니다.
저와 함께 캐나다 국회의사당에서 열린 광복절 기념행사를 함께 보실까요?^^
캐나다 국회의사당 길 건너편에 위치한 안내센터 앞은 이른 아침부터 사람들로 북적거립니다. 캐나다 국회의사당의 투어 대기번호표를 받기 위해, 기다리는 사람들인데요. 비성수기에는 국회의사당 본관으로 바로 가서 30분 이내에 투어가 시작하는 표를 받을 수 있지만, 성수기에는 투어를 원하는 관광객이 많아 안내센터에서 표를 미리 배부받아야 투어가 가능하답니다.
저희는 투어가 아닌 국회의사당 건물 외부에서 열리는 행사에 참여하기 때문에 곧바로 길건너 국회의사당으로 직행했습니다.
국회의사당 본관 앞 잔디밭에 의자가 배치되어 있었습니다. 중앙석은 참전용사 및 캐나다 대사관 관계자들의 지정석으로 마련되어져 있었습니다.
캐나다 대사관에서 캐나다 국기와 태극기 및 배지를 나눠주고 있는 모습입니다.
캐나다 국기 배지는 기념품 가게 등에서 쉽게 구할 수 있지만, 캐나다와 한국 국기 함께 있는 배지는 처음 봤어요^^ 핀이 아닌 자석으로 고정하도록 되어 있어서 옷에 달기 편하더라구요. 세심한 부분까지 신경 쓰신 것 같았습니다. 평소에 배지와 국기 둘 다 좋아하는 딸이 두배로 좋아하더라구요^^
조대식 주캐나다 대한민국 대사 부부이십니다.
한국 참전 용사와 그들의 가족들도 함께 참여했습니다.
책갈피 크기의 깔끔한 광복절에 관한 소개지를 받았어요. 설명은 뒷면에 있어요.
오늘의 행사를 위해 토론토에 사는 프랭크 스코필드 박사의 손자와 손녀도 초청받아 함께 자리를 빛내주었습니다.
프랭크 스코필드 박사(Dr. Frank W.Schofield, 한국명 석호필)는 캐나다 출신 선교사이자 수의사로, 한국 독립운동가를 지원함으로써 일본의 식민통치에 항거한 한국 독립운동에 참여했습니다. 그중에서도 가장 큰 업적은 일제가 저지른 만행중 하나인 화성 제암리 주민 학살 사건을 세계에 알린 일입니다. 그의 공로로 스코필드박사는 한국 국립 묘지에 묻힌 유일한 외국인입니다.
그가 한국에 찾아올 당시 소아마비로 왼 팔과 오른 다리를 못 쓰는 장애인이었지만, 그의 한국명인 석호필(石虎弼)처럼 돌(石: 돌 석)처럼 용맹스럽게(虎: 범 호) 한국인을 돕는(弼:도울 필) 가슴이 따뜻하고 의지가 강한 독립호사였습니다.
프랭크 스코필드 박사의 손자와 손녀에게 감사의 꽃다발을 증정하는 순서가 있었습니다.
캐나다 국회의사당에서 열리는 위병 교대식입니다. 매년 여름 오전 9시 45분에 매일 열리는 교대식이지만, 오늘은 특별히 광복절 70주년 행사와 함께 개최되었습니다.
위병 교대식에 대해서는 조만간 따로 포스팅하겠습니다^^
오늘의 행사를 빛내주신 분들의 모습입니다.
우리나라의 자랑스러운 고유 무술인 태권도 시범이 있었습니다. 캐나다에서는 태권도에 대한 관심이 생각보다 무척 많은데요. 캐나다 시립 문화센터에는 태권도 수업이 항상 있으며, 국립 학교에서도 태권도를 가르치는 시간이 있답니다. 한인뿐만 아니라, 많은 캐네디언이 태권도에 큰 관심을 보이며, 배우고 있습니다.
발차기로 송판을 격파하고 있습니다. 보시다시피, 캐네디언 아이들입니다.
이번에는 검은 띠 캐네디언이 날라차기로 송판을 격파해 주변의 많은 캐네디언의환호를 받았네요.
흐트러짐이 없이 짜임새있게 시범을 보여줬습니다. 태권도를 캐나다 국회의사당에서 볼 수 있다니요. 정말 감동이었습니다. 딸 아이에게 오늘 행사 중 무엇이 젤 좋았냐고 하니, 태권도였대요. 태권도 시범을 보인 언니와 오빠가 정말 멋있다고면서, 자기도 태권도를 배우고 싶다고 하네요^^
날라차기를 하는 모습입니다.
시범이 끝나자 캐네디언이 한국어로 사범에게 예를 표했고, 다 함께 큰절을 올렸습니다.
오늘 태권도 시범은 오타와 한인의 상징이라 할 만한 이태은 사범의 제자들이 펼쳐준 멋진 무대였습니다. 사진 속의 양복을 입고 있는 분이 바로 이태은 사범이십니다.
캐네디언이 함께한 우리나라 고유의 전통무예인 태권도 영상을 함께 보실까요?
'축제 및 이벤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캐나다 동네 아이들의 장기자랑대회 (8) | 2015.09.01 |
---|---|
캐나다 국회의사당 조명쇼로 역사를 배우다 (6) | 2015.08.20 |
캐나다 농촌 마을 축제는 어떤 모습일까? 연례 축제 Navan Fair (6) | 2015.08.10 |
캐나다 오타와 운하 축제 세계문화유산의 매력에 빠지다 (17) | 2015.08.05 |
유쾌한 재주꾼이 다모였다! 국제 버스커 축제 2015 (8) | 2015.08.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