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나라의 경찰관, 소방관 연봉은 얼마 정도 할까?'라는 생각을 종종 하게 되는데요. 오늘은 캐나다 주요 직업별 연봉 및 고용 전망을 소개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해를 돕기 위해 몇 가지를 먼저 짚어 보고 갈까요?^^
2016.03.09 캐나다 환율 1달러 : 904.72원 기준
ㅣ 캐나다 최저 시급
캐나다 최저 시급은 주(province)마다 다른데요. $10.30(9,318원)~$12.50(1만1,309원) 사이에 있습니다. 참고로 한국의 최저시급은 6,030원입니다.
ㅣ 캐나다 시간당 평균 수입
- 남성의 시간당 평균수입 : $26.93(24,364원)
- 여성의 시간당 평균수입 : $23.17(20,962원)
- 풀타임 근로자의 시간당 평균수입 : $26.47(23,947원)
- 파트타임 근로자의 시간당 평균수입 : $17.6(15,923원)
ㅣ 캐나다 중산층 평균 소득
개인 : $23,357(2,113만 원)~$36,859(3,334만 원) 사이
2인 이상 가족 : $61,929(5,602만 원)~$88,074(7,968만 원) 사이
그럼, 캐나다 주요 직업별 연봉 및 고용 전망을 하나씩 살펴보아요^^
ㅣ 경찰관
경찰관, 왕립기마경찰대(RCMP), 고속도로 순찰대원, 형사 등 포함
시간당 평균 임금 : $27.28~$39.00
풀타임 연봉 : 세전 $60,000(5,428만 원)~70,000(6,333만 원)
조만간 인원 부족이 예상되어, 고용 전망이 좋음
ㅣ 소방관
소방관, 화재조사관, 소방대장, 화재 관리자, 견습생 등 포함
시간당 평균 임금 : $28.04~$38.00
풀타임 연봉 : 세전 $60,000(5,428만 원)~$70,000(6,333만 원)
조만간 인원 부족이 크게 예상되어, 고용 전망이 매우 좋음
ㅣ 치과의사
시간당 평균 임금 : $38.59~$68.98
풀타임 연봉 : 세전 $120,000(1억857만 원)~$240,000(2억1,713만 원)
캐나다 인구 고령화로 인원 부족이 예상되어, 고용 전망이 좋음
ㅣ 치위생사
치위생사(hygienist), 치과 간호사(nurse), 치과 치료사(therapist) 등 포함
시간당 평균 임금 : $30~$50
풀타임 연봉 : 세전 $60,000(5,428만 원)~$70,000(6,333만 원)
우리나라와 비교했을 때 치위생사 시급과 연봉이 매우 높음
인원이 충분할 것으로 예상
ㅣ 의사
일반 의사, 가정의(전문의 아님) 등 포함, 전문의 연봉은 훨씬 높음
시간당 평균 임금 : $54.72~$77.52
풀타임 연봉 : 세전 $120,000(1억857만 원)~$240,000(2억1,713만 원)
캐나다 인구 고령화로 인원 부족이 예상되어, 고용 전망이 좋음
ㅣ 간호사
간호사, 간호조무사, 외과 수술실 간호사 등 포함
시간당 평균 임금 : $20.65~$31.00
풀타임 연봉 : 세전 $42,000(3,800만 원)~$52,000(4,705만 원)
치위생사보다 연봉이 낮음
고용 전망이 좋음
ㅣ 약사
시간당 평균 임금 : $43.94~$57.15
풀타임 연봉 : 세전 $85,000(7,690만 원)~$95,000(8,595만 원)
약사 연봉이 높은 편임
인원이 곧 채워질 것으로 예상
ㅣ 병설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 교사
시간당 평균 임금 : $30~$37.58
풀타임 연봉 : 세전 $60,000(5,428만 원)~$75,000(6,785만 원)
인원이 충분할 것으로 예상
ㅣ 고등학교 교사
시간당 평균 임금 : $32.42~$41.76
풀타임 연봉 : 세전 $55,000(5,428만 원)~$70,000(6,333만 원)
인원이 충분할 것으로 예상
ㅣ 대학 교수
대학 특별 교수, 대학 강사, 대학 객원 교수 등 포함
시간당 평균 임금 : $25~$48
풀타임 연봉 : 세전 $60,000(5,428만 원)~$80,000(7,237만 원)
인원이 충분할 것으로 예상
ㅣ 변호사
시간당 평균 임금 : $42.01~$76.90
풀타임 연봉 : 세전 $110,000(9,951만 원)~$150,000(1억73,571만 원) .
인원이 조금 부족할 것으로 예상
ㅣ 은행원
은행원, 모기지 직원, 보험사 직원 등 포함
시간당 평균 임금 : $16.03~$21.51
풀타임 연봉 : 세전 $30,000(2,714만 원)~$40,000(3,619만 원)
다른 직종에 비해 연봉이 낮은 편임
인원이 충분할 것으로 예상
ㅣ 캐나다 소득세율
- $43,953(3,976만 원) : 15%
- $43,953(3,976만 원) 초과 $87,907(7,953만 원) 미만 : 22%
- $87,907(7,953만 원) 초과 $136,270(1억2,328만 원) 미만 : 26%
- $136,270(1억2,328만 원) 초과 : 29%
* 평균 소득세율은 22%
* 자세한 사항은 이전 글 [북미 정보&문화] - [캐나다 vs. 한국] 최저임금과 연봉 실수령액 비교를 참고하세요!
참고 : MoneySense estimates for 2013, Canadian Statistics, Living in Canada, TurboTax
미국과 캐나다의 최저 시급은 우리나라보다 2배 이상이나, 실업률도 2배 정도 더 높습니다. 그만큼 구직 경쟁이 치열하여 대학교와 대학원을 졸업한 고학력자들이 낮은 연봉 또는 계약직을 감수하고 취직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한국, 미국, 캐나다의 실업률을 비교한 글이니, 궁금하신 분들은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북미 정보&문화] - [한국 vs 캐나다 vs 미국] 고용률 청년 실업률 비교
수 세기 동안 이민자를 받아들이고 있는 캐나다는 여전히 많은 이민자(매년 25만 명)를 받아들이고 있습니다만, 그 형태가 최근에 많이 바뀌었습니다. 투자 및 사업 이민의 문은 거의 닫힌 상태이고, 대신 전문 인력(유학생 포함)과 난민 이민이 늘어난 상태입니다. 캐나다 이민을 계획하시는 분이라면 기술 이민 또는 학생 비자를 염두에 두시면 좋을 듯하네요.
캐나다 직업별 연봉에 대해 궁금하셨던 분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환절기에 감기 조심하시고 항상 건강하세요!^^
'북미 정보&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캐나다 주택 시세 및 최근 동향 (18) | 2016.03.14 |
---|---|
봄방학을 즐기는 방법! 캐나다 공원에서 눈썰매 타기 (16) | 2016.03.13 |
캐나다 주요 직업별 연봉 및 고용 전망 : 경찰관/소방관/교사/간호사 등 (28) | 2016.03.10 |
캐나다 전자여행허가(eTA) 의무화 ※완벽정리※ (13) | 2016.03.09 |
캐나다에서 출산할 시 받을 수 있는 혜택은? (24) | 2016.03.07 |
캐나다에서 살아 숨 쉬는 아일랜드의 문화, St. Patrick's Day (28) | 2016.03.05 |
-
-
6~7년 전 호주의 최저시급이 20달러 안팎이었던 것 같은데... 그 때 쉬엄쉬엄 토마토 따가면서 한 달에 5백씩 벌건게 생각나네요 ㅠ ㅋ
앗! 그나저나 티스토리 루키인터뷰에 선정되신 것 봤습니다. 제가 첫 댓글 남겼어요~ !! 축하드려요 ^^-
제 표현력이 딸렸네요ㅋ 글쓰기란에 글을 안 쓰고, 이미지에 글을 써서 슬라이드 형태의 포스트요^^ 표현하는 센스가 매우 좋으셔서 글을 읽는 도중 종종 그런 생각이 들었거든요.
요즘 PC보다 모바일 유입이 급속도로 높아지다 보니, 페북, 빙글 등에서도 그런 스탈이 인기이고...네이버 등 포털도 점점 그런 추세를 따라가려고 하는 듯해요. 블로거가 만능이 되어가야 하나봐요- - ; 저는 능력이 안되고ㅎㅎ Gilee님은 사진도 잘 찍으시고, 표현력도 좋으셔서 그런 생각이 들더라고요^^
편안한 밤 되세요^^
-
Lady Expat : 어쩌다 영국 2016.03.10 17:29 신고
항상 느끼는 것이지만 Bliss님의 블로그엔 정말 좋은 정보가 많아서 캐나다에 관심이 있으신 분들께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아요. 책을 내기에도 충분할 정도로 자세한 글을 쓰기 위해 노력하시는 Bliss님의 정성이 잘 보이네요. ^^
-
-
와~ 정말 흥미로운 글이네요. ^^
우리나라와 비교해보면 치위생사와 간호사, 은행원에서 연봉 차이가
꽤 나는 듯 싶습니다.
특히 대한민국의 경우에는 금융권에 들어가는 것이 일반 대기업에 입사하는
것과 맞먹을 정도로 힘든데, 오히려 캐나다에서는 연봉이 상대적으로
낮다는 게 특이하네요.
간호사와 치위생사, 경찰과 소방공무원 등의 대우도 우리나라 보다는
훨씬 좋아 보입니다. ^^
흥미롭고 유익한 글 잘보고 갑니다.
남은 한 주도 화이팅하시길~ 응원할게요~!! :) -
전 세계 어디나 지금은 다 힘든 시기인거 같습니다. 경기불황도 있겠지만, 하나의 과도기 시기인것 같기도 하고요. 암튼 캐나다는 소방관 경찰관 분들의 여건이 더 좋다는게 당연한듯 싶으면서도 부럽습니다. 덕분에 잘 알게 되었네요. 캐나다 역시 미국의 영향이 큰 거 같네요. 미국 사는 친구들이 말하는것과 비슷한 양상이네요.
-
확실히 수도권이나 좀 큰 도시는 실업률이 높고 경쟁도 많고 자리도 별로 없더군요. 아무래도 이민도 많고 국제 학생들도 많은거 같아요. 정말로 좋은거는 PEI에서 IT 직업들은 자리가 많습니다. 사람들이 시골로 오지를 않네요 ㅠㅠ 슬픕니다 ㅎㅎ 저한테는 좋은 소식이지만요.
-
생각보다 급여가 낮은 직종/직업이 승무원이더라고요. 승무원 뿐만 아니라 에어캐나다의 포지션에 나와 있는 시간당 급여가 한국의 항공사에 비하면 정말 낮다....이런 생각이 절로 들 정도로.
-
우리나라와는 분위기가 다른 직업들도 있네요.
특히 유치원교사의 경우엔 더더욱 그러네요.
참 어려운 요즘인 것 같지만, 앞으로도 계속 어렵겠지요.
잘 살아간다는 게 쉽지 않은 세상이네요.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