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희는 캐나다에서 만 8년차 사는 재외국민입니다. 국회의원 선거와 대통령 선거때마다 재외선거 투표를 하고 있는데요. 오늘은 재외선거 투표를 하기 위해 꼭 필요한 절차인 '재외선거 신청' 방법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재외선거 신청에 앞서, 기본적인 정보를 살짝 짚어보고 갈까요?^^
- 재외선거 신청은 재외선거인과 국외부재자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재외선거인 : 주민등록과 국내거소신고가 되어있지 않은 국민(주민등록 말소자 포함)으로, 영주권자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국외부재자 : 주민등록이나 국내거소신고가 되어있는 사람으로서 외국에서 투표하려는 국민으로 기업 주재원, 유학생, 여행자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 재외선거 '신청' 기간 : 2015년 11월 15일 ~ 2016년 2월 13일
- 재외선거 '투표' 기간 : 2016년 3월 30일 ~ 2016년 4월 4일
저희는 캐나다 영주권자로서 재외선거인 신청을 해야 재외선거 투표를 할 수 있습니다. 그럼, 재외선거 신청하는 절차를 소개할게요.
'중앙선거관리위원회' 홈페이지 가기
포털사이트에서 '중앙선거관리위원회'로 검색해 해당 홈페이지를 접속하세요.
중앙선거관리위원회 홈페이지>>> www.nec.go.kr
'제20대 국회의원 재외선거' 홈페이지로 가기
중앙선거관리위원회 메인 페이지 상단과 하단에 '제20대 국회의원 재외선거' 배너가 가 있습니다. 상단 혹은 하단 배너 중 아무거나 클릭해 이동하시면 됩니다.
'재외선거 홈페이지'입니다. 지금으로부터 신청 기간이 약 한 달 정도 남았습니다.
등록신청 선택하기
'재외선거 홈페이지' 메인 페이지 하단을 보시면, 신청이 재외선거인과 국외부재자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그중 본인이 해당하는 곳의 버튼을 눌러주세요. 개인신상정보 입력사항이 다를 뿐, 절차 과정은 똑같습니다.
등록절차 1단계 : 전자우편 주소 유효성 검증
등록 절차는 <전자우편 주소 유효성 검증 - 등록신청서 작성 - 등록신청 완료> 총 3단계입니다. 참고로 개인신상정보 입력사항이 다를 뿐, 절차 과정은 똑같습니다.
1단계는 신청자 전자우편(E-mail)으로 접수증이 오기 때문에, 신청자의 전자우편 주소 유효성을 검증하는 절차입니다. 전자우편 주소와 자동입력방지 숫자 6자리를 입력하고 하단의 '검증하기' 버튼을 누르면, 3분 이내 입력한 전자우편 주소로 메일이 옵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서 본인의 전자우편으로 온 <전자우편 주소 유효성 검증>메일이 왔습니다. 메일 내용 중 파란색 버튼 '전자우편 주소 인증하기'를 클릭하셔야, 2단계인 등록신청서 작성으로 넘어갑니다.
등록절차 2단계 : 등록신청서 작성
이메일 주소 유효성 검증 메일 중 파란 버튼인 '전자우편 주소 인증하기' 버튼을 누르면, 다시 재외선거 홈페이지의 등록절차 2단계인 '등록신청서 작성' 화면으로 이동됩니다.
등록신청서에 있는 개인신상정보 등을 입력하시고, 자신이 투표할 재외선거 투표지(대사관 혹은 영사관)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등록절차 3단계 : 등록신청 완료
등록신청서를 작성해 제출하면 등록절차 3단계인 '등록신청 완료'가 됩니다. 그리고 하루 이내에 입력한 전자우편 주소로 '재외선거인 접수증 발송' 메일이 옵니다.
저는 신청 기간이 한 달이 지나고 나서 했는데요. 접수번호가 2번이더라구요. 접수증은 가져가실 필요가 없고, 투표 시 신분증만 지참하시면 됩니다.
2012년 12월 캐나다 대사관에서 18대 대통령선거를 재외투표한 모습입니다. 투표함에 투표용지를 넣으려고 하니, 대사관 직원분께서 황급히 저지하시더니 인증 사진을 남기라며 찍어주시더라구요.^^;;
대통령 선거에 앞서 2012년 4월에 있었던 19대 국회의원 선거는 한국에 방문할 때여서, 시부모님과 함께 투표하고 왔네요.
현재 재외선거인(영주권자 등) 및 국외부재자(주재원, 유학생, 여행자)이시라면, 재외선거 신청을 하셔서, 소중한 나의 한 표를 잃지 않으시길 바랍니다.
추운 겨울날 감기 조심하시고, 몸과 마음이 따스한 나날 보내시길 바라요.
'북미 정보&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과 캐나다 치과 치료비 얼마나 차이 날까? (21) | 2016.01.16 |
---|---|
눈 치우는 법이 있다! 신기한 캐나다 제설 작업 (28) | 2016.01.14 |
외국에서도 꼭 챙겨야 할 소중한 나의 한 표! "재외선거 신청하기" (16) | 2016.01.13 |
화폐로 쉽게 알아보는 캐나다 역사와 문화 (23) | 2016.01.10 |
아프면 어디로 가지? 한국과 다른 캐나다 병원 이용 절차 (12) | 2016.01.08 |
캐나다 병원에서 얻은 따스한 온기 (18) | 2016.01.04 |
-
그곳에서도 한 표의 권리를 충실히 이행하고 계시는군요.
멋지십니다. ^^
몇일전부터 한파가 몰아치네요. 그곳에 비하면 아무것도 아니지만,
겨울 내내 춥지 않더니 이제서야 조금 겨울같네요.
너무 추워서 나가긴 힘들지만, 그래도 겨울답기에 좋습니다. ㅎㅎ
건강 잘 챙기세요~~ -
-
-
재외선거방법은 처음 알게 되었어요. 우리나라에는 선거일날 투표하지 않고 놀러가는 분들도 계신데. 멀리서 당당하게 1표를 행사하는 모습이 너무 귀감이 되네요.
-
하하하~~ 저도 부재자 투표하는 일인입니다~~~
저는 bliss님이 이민 가신줄 알았는데....재외국민의 뜻도 이제서야 알았다는.....
그럼 언젠가 다시 한국에서 사실 가능성도 있으신지??-
설마.....근황이 바뀌신건가요?..........- - ;;;;;;;;;;;;;;
이민은 맞고, 투표권 잃기 싫어서 시민권 신청안하고 영주권만 가지고 있어요. 아마도 한국에 살 가능성은 거의 없을듯요ㅠ
남편이 술도 안 마시고, 야근문화도 넘 버거워해서....한국행을 두...려워하네요. -- ; 하지만 사람일은 모르기에...타지에 있다보면 내고향이 아닌지라 어디로 또 떠날 대기상태인 마음이네요.
독거미님도 비슷한 마음이겠지요? 장소가ㅠㅠ좀..ㅠ
암튼 무소식이 희소식이길 바라봅니다. 굿밤 되세요!
-
-